살다보면 나만의 개념이나 단어, 문장을 생각해내고 스스로 대견할 때가 있지요. 아래 내용들은 그런 것들을 모아둔 것입니다.
고객의 선택을 받기 위한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제품에 ‘상품성’을 가미하는 활동 또는 전략
친환경, 윤리적 소비를 시도하지만 바로 일반적 소비로 회귀하는 현상
조직은 불건전하거나 건강하지 못한데 그 구성원은 그렇지 않은 경우 그 구성원과의 관계 설정에 혼란을 겪는 것.
예) 환경단체에 원자력 발전소의 '사회봉사 동아리'에서 발전소와 관계없이 기부를 하겠다고 할 때 단체가 느끼는 딜레마.
복잡해진 사회에서 하나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법적, 기술적, 제도적, 문화적, 정치적 시도 등을 모두 포괄해서 고민해야 변화를 이뤄낼 수 있다는 주장.
시민들의 욕구도 다양해지고, 사회문제의 원인 역시 다층적이어서 어느 하나의 방법론이나 어느 하나의 활동 만으로는 유의미한 결과를 내지 못하는 데서 오는 자각.
제품이나 서비스로 인해서 고객이 얻을 수 있는 가치를 숫자로 계량화 해내는 작업
예) 단축된 이동거리, 절약된 시간, 해소된 불편의 수준 등
다른 이들의 생각과 행동을 비판하면서 그 것의 상대적 개념으로 본인의 정체성과 위상, 개념을 세우려하는 사고 체계
살면서 이미 '상수'가 되어버린 상황을 바뀔 수 있는 '변수'로 보고 애를 쓰다가 결국 힘만 쓰고 일이 되지 않을 때가 있다.
출산 장려 정책, 근로시간 단축 등의 시사를 보면서 그 부분을 생각한다. 이미 대세가 되고 있고, 앞으로 그렇게 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을 '관습과 부질없는 기대'로 저항하려고 하는 현상을 본다.
지금의 출산 정책은 크게 '애는 나아야지' 라는 종교적, 유교적, 인류학적(?) 관점과 경제인구 감소로 항구적 부의 창출이 어렵다는 경제적 관점 측면에서 만들어 지는 것 같다.
하지만 여기에 '쪽수 중심의 농경사회에서의 탈피와 기술진보로 인한 인력 수요의 감소'와 '개인적 자유에 대한 갈망과 실현 욕구 증가', '국제적 이민과 인구 이동의 용이성 증대' 라는 요인을 넣는다면 지금의 출산 장려 정책은 매우 방향을 잘못 잡은 듯 보인다.
즉, '결혼 했으면 애는 낳아야지', '아이가 가장 큰 행복이다', '미래 아이가 짊어져야 하는 부양의무가 너무 크다', '집값 등 물가가 너무 올라서 애를 키울 수 없어서 안 낳는다.' 등의 귀인과 대책은 뭔가 지엽적이고 과거적인 것 같다.
이미 시대가 변하고 있고, 애가 없거나 적게 사는 게 '더' 행복한, 애 키우는 것이 다른 자유를 '제약'하는 시대가 왔고 더 강해질 것이다.
이런 '상수'를 출산수당과 장려금 올리고 어린이집 확충 정도로 어떻게 해볼 수 있다는 '변수'로 생각하는 것이 맞을까?
결국 '다른 지자체 인구 빼오기' 이상 이하도 아닐 것이다.
여러 요인으로 출산율이 떨어지는 것을 '상수'로 본다면 그 것에 대한 대책이 달라질 수 있지 않을까. 일정 부분의 장려 진작 정책은 해야하겠지만, 산업 구조를 개편하고, 적은 인구로 먹고 살면서 자주 국방을 실현할 수 있는 일에 더 매달려야 하지 않을까.
근로시간의 단축 역시 이미 '상수'이다. 이 것을 마치 '변수'로 보고 저지 해보려 하는 시도를 하거나, 힘들다고 푸념만 해서는 시대를 쫒아가지 못한다.